전자책 시장의 이슈와 전망 (인물과사상 5월호)
/ 김용주
킨들의 성공과 전자책 시장의 호황
전자책 시장이 들썩거리고 있다. 아마존은 2010년 7월 19일, 매체를 통해 2/4분기 전자책 판매가 종이책 판매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지난 3개월간 판매 기준 1.43배로 전자책의 판매수가 높았고 지난 한 달로 좁히면 양장본 대비 1.8배 수준이다. 아마존은 이미 킨들2의 가격을 낮춘 데에 이어 이번에 킨들3의 가격도 파격적으로 낮추었다. 또한 아이폰을 비롯한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판매로 전자책 시장의 파이가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앞다퉈 전자책의 시대가 곧 도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론 이미 인터파크 '비스킷', 삼성전자 'SNE-60K', 북큐브네트웍스 '북큐브', 넥스트파피루스 '페이지원', 아이리버의 '스토리' 등의 전자책 단말기를 중심으로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전자책 시장의 경쟁이 시작되고 있으며 갤럭시탭과 아이패드의 국내 출시는 시장의 기대감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책 시장이 콘텐츠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한번 구입한 전자책을 여러 다른 기기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전자책의 현주소는 어디쯤일까.
전자책의 성장은 미국의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에서 시작되었다. '전 세계 언어로 된 모든 책을 60초 안에 제공하는 것'이라는 모토 아래 아마존은 2007년 11월에 킨들(Kindle)이라는 전자책 단말기(e-book 리더기)를 내놓고 전자책 시장에 본격 진출했고 이 단말기가 2008년에 50만 대 이상 팔리면서 성공적으로 출판 시장에 안착했다. 킨들의 성공에는 몇 가지의 이유가 있는데 그중 첫 번째로 전자 잉크(e-ink) 기술을 꼽을 수 있겠다. LCD와 같은 액정은 쉽게 눈이 피로하고 햇빛 아래서는 가독성이 떨어지지만 전자 잉크를 사용한 단말기는 비교적 가볍고 배터리가 오래가며 가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둘째로는 3G(3세대 이동통신 기술 규격)망을 이용한 신문 및 e북의 신속한 다운로드 통신망 지원이다. 이러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어디서나 책이나 신문, 잡지 등을 단 몇 분 내에 다운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휴대가 용이하다는 점이다. (킨들은 광고를 통해 휴가지에서 여성이 한 손으로 킨들을 볼 수 있다는 점을 자주 부각시켰다.) 대체로 2G의 용량을 지원하는 전자책 단말기는 많게는 1,500~2,000권 정도의 온라인 도서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가볍고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성과 노인들에게도 각광을 받고 있다.
아이패드, 전자책 시장의 중심에 서다!
2010 년 1월 27일, 스티브 잡스는 그간 비밀에 쌓여 있던 태블릿 PC의 발표회를 가졌다. "애플은 마법같고 혁명적인 제품을 소개하는 것으로 2010년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We want to kick off 2010 by introducing a truly magical and revolutionary product.)"는 말로 시작된 이른바 '아이패드(iPad)'의 키노트는 발표 당시부터 지금까지 태블릿 PC와 전자책 시장을 뒤흔드는 일대의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초기에는 아이폰의 크기만 키워놓은 듯한 단조로운 모습과 기능에 비판의 목소리도 높았으나, 당시 스티브 잡스가 예견한대로 크기만 다른 것 같은 이 '물건'이 넷북과 전자책을 대체하는 혁신적인 기기로 급성장하였다. 또한 당시 언론에서 '아이패드'의 가격이 999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아이패드'의 가격이 최저 499달러부터 시작한다고 발표하자 참석자들은 예상 밖의 가격에 또 한 차례 환호성을 지르는 진풍경도 연출했다.
아이패드가 출시된 이래로 앱스토어에 올라온 어플의 수는 35만종이며 그 중 아이패드용 어플의 숫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별히 전자책 시장만으로 한정하더라도 아마존 킨들이 아이패드의 어플로 탑재되었고 많은 매체들과 제휴를 맺는 등, 기존 전자책 단말기 대비 칼라 지면의 전문 서적이나 패션 잡지 등의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인터파크, 북큐브, 알라딘 등 온라인서점을 중심으로 아이폰과 아이패드용 전자책 어플들이 개발되어 탑재되고 있으며 어플을 통해 전자책을 볼 수 있는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난 3월 2일, 놀랍게도 병가 중인 스티브 잡스가 발표회에 참석하여 이슈가 되었던 아이패드2는 듀얼코어 탑재와 중량 15%, 두께 30%가 줄어드는 등 많은 개선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을 499달러를 유지했다. 이로 인해 태블릿 PC 시장은 당분간 성능에 더하여 저가 전쟁에 시달릴 듯 하다.
한국의 전자책 추이
국내에서도 킨들의 열풍에 힘입어 2010년부터 많은 기업들이 전자책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단말기를 중심으로 본다면 킨들의 상당 부분을 모방한 인터파크의 '비스킷'이 상당히 공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선 느낌이다. 비스킷은 LG에서 개발했으며 킨들처럼 키패드를 탑재하고 있으며 LG텔레콤의 3G망을 이용하여 책을 PC 연결 없이 구입하고 신문을 구독할 수 있다. 삼성의 SNE-60K는 와이파이를 지원하며 터치스크린을 지원한다. 아이리버의 스토리도 SD 메모리 확장 및 사전을 지원하며, 넥스트파피루스의 페이지원은 키패드 및 무선 기능 등을 없애고 가격을 낮춘 저가형으로 개발되었다. 북큐브도 와이파이 지원 및 사전 탑재한 제품을 출시했다가 최근에는 ‘815’라는 모델명으로 저가의 단말기를 선보였다. (단말기는 페이지원과 동일한 제품이다.) 하지만 단말기 시장은 점차 단말기 간의 기능들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사양(specification)의 비교 자체는 무의미해질 것이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전자책 시장의 관건은 단말기보다는 콘텐츠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교보문고는 이미 6만 8,000권 정도의 전자책을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 아이리버 등의 단말기를 지원하고 있다. 후발 주자로는 '비스킷'이라는 독자 모델을 개발한 인터파크가 초기에 2만 5,000종의 전자책을 내놓았으며 작년말까지 10만 권의 컨텐츠를 확보한다고 밝혔다. 예스24와 알라딘은 <중앙일보>, 비룡소 등과 연합해 '한국이퍼브'라는 회사를 출범하고 작년 4월부터 온라인 서점을 통해 서비스를 시작했다. 북큐브네트웍스 역시 국일, 다락원, 대교출판, 푸른숲, 행복한책읽기 등 100여 개 출판사와 제휴를 체결하고 전자책 시장에 발을 들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업체들은 최근 독자적인 단말기를 통해 전자책을 보게 하던 폐쇄적 방식에서 구매한 추가적인 비용 부담 없이 PC와 휴대폰, 전용 단말기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다 개방적인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속적인 변화와 경쟁
최근 들어 전자책 시장은 점점 규모가 커지고 그만큼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간판급 단말기 가격의 하락에 기인하고 있다. 미국 최대 대형 서점 체인인 반스앤드노블이 지난해 누크(Nook)라는 단말기를 3G버전은 199달러, 와이파이 버전은 149달러의 파격가로 시장에 뛰어들자 킨들은 즉시 킨들2를 그보다 10달러 낮은 189달러에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미국 2위 대형 서점 체인인 보더스가 코보(Kobo)라는 단말기를 150달러에 내어놓고 20달러 상품권을 제공하는 것으로 추격에 나섰다. 이에 아마존에서는 다시 킨들3을 킨들2와 같은 가격으로 출시하였다. 킨들 초기 버전이 400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절반 이하로 가격이 떨어진 셈이며 이러한 저가 정책에 힘입어 아마존의 전자책 시장은 2/4분기 실적에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업계에서는 조만간 100달러 수준으로 단말기 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그만큼 전자책 시장의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단말기 중심의 전자책 시장에 또 다른 변화의 조짐도 있다. 검색 사이트에서 온라인 인터넷 솔루션의 표준으로 변모하고 있는 구글은 다른 회사들이 단말기를 중심으로 시장 진입을 시도하는 것과는 달리 자신의 주력 부문인 '검색'을 앞세워 작년부터 구글북스(Google Books)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초기에 몇몇 대학과 협력하여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이미 구간 도서를 중심으로 700만 종의 종이책을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했다. 이 서비스는 절판된 책이나 저자의 허락을 받은 도서의 전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시판 중인 서적은 정보나 책의 일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구글북스 서비스에 출판사들의 반대가 이어지고 있지만 이 서비스가 가진 잠재력과 출판계의 파급효과는 실로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쯤 되면 실로 출판계의 디지털 혁명이라 할 만하다.
전자책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들
초창기 전자책 시장은 일인 출판과 같은 전자출판 자체에 관심이 많았다. 전자출판은 책 한 권을 만들어 내는데 필요한 디자인, 편집, 인쇄와 같은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출판사 고유 기능의 과감한 축소를 의미하는 것이었다(이미 아마존을 통해서 개인이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책을 편집하여 출판하는 일이 가능하며 국내에서는 교보문고가 현재 7월을 목표로 전자책 출판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또한 2007년 킨들의 성공을 기점으로 전자책 시장은 비교적 충분한 양의 콘텐츠를 가질 수 있게 되었고 가볍고 작은 단말기로 2,000권 이상의 책을 소지하고 여행을 다닐 수도 있게 되었다. 콘텐츠의 증가와 휴대성의 비약적인 개선이 생긴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원서를 보면서 사전 기능을 통해 단어를 실시간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3G망을 이용해서 버스 안에서도 신간 서적이나 신문을 다운 받아 읽을 수도 있다.
이미 알려진 효용 성과는 별개로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전자책에 대한 몇 가지의 이상적인 기대들도 있다. 먼저는 자본주의 시장의 원리에 의해 수지가 맞지 않아 미출간 혹은 절판된 많은 전문 서적들의 디지털 콘텐츠화이다. 책 한 권을 기획하여 상품으로 팔기까지 고비용이 드는 종이책 시장이 자본의 논리에 따라 베스트셀러 중심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었지만 전자책 시장은 이러한 출판 시장의 자본 논리를 해체시키고 콘텐츠의 전문화, 다양화를 만들 수 있는 퍼텐셜을 가지고 있다(실제로 지난 4월8일, 한국복사전송권협회와 북큐브네트웍스는 `절판 도서의 전자책 복간`에 대한 협약을 마치고 이달부터 절판 도서를 전자책으로 복간키로 합의했다.) 둘째는 저장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실제로 글을 쓸 때 참고하려고 수집한 방대한 양의 종이책들은 부피도 크고 보관하기도 힘들다. 개인적으로도 글을 쓸 때 인용할 몇 페이지 때문에 보유한 많은 참고 문헌들은 이사할 때마다 그야말로 애물단지다. 그렇다고 그 참고 문헌의 페이지들을 모두 타이핑한다는 건 시간과 노력으로 볼 때 거의 불가능하다. 전자책은 이러한 참고 문헌 확보에 엄청난 이점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강력한 검색 기능이다. 만일 전자책을 데이터베이스처럼 관리하고 그 콘텐츠를 검색을 통해 필터링 혹은 클러스터링(clustering)할 수 있다면 그 효용성 또한 클 것이다. 일례로 논문을 쓸 때도 관련 연구 논문 및 서적을 검색하고 검색한 논문들 중에서 내 논문 주제와 긴밀한 관련이 있는 것을 추려 내는 작업을 하는 데에도 적게는 며칠에서 많게는 몇 주 동안을 허비하기도 한다. 현대의 이슈는 방대한 자료들을 어떻게 체계화시키고 그것을 가지고 유효하고 가치 있는 정보들로 재구성하는 것이라고 본다면 전자책은 이 작업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구글북스로 검색한 자료들을 3G망을 통해 단말기에 다운 받고, 단말기에 저장된 자료들을 즉시 검색어를 통해 분류하여 필요한 부분들을 정리해 두는 작업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화로 리서치 논문 한 편을 쓰는데 드는 시간은 지금보다 현저하게 줄어들게 될 것이다.
전자책 시장의 장애 요소들
이러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전자출판 시장은 아직 장애 요소들이 많이 있다. 종이책 대비 전자책 콘텐츠 자체의 수적인 부족 현상이나 출판 업계의 미온적 대응, 대중의 종이책 선호 정서, 혹은 디지털 매체에 대한 반감 등을 전자출판의 장애 요소로 꼽을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DRM, 즉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자체에 관한 것을 꼽을 수 있다. 엄밀히 말해서 전자출판의 핵심 문제들은 모두 이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로 귀결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아마존은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시작부터 저작권 보호 기능이 적용된 자체적인 파일 포맷을 사용하고 있다. 아마존을 제외한 대다수의 업계에서는 전자책의 표준인 ePub 포맷을 사용하며 전자책 배포 시 자체 DRM 툴이 적용된 콘텐츠를 다운 받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DRM은 저작권 문제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이지만 단순히 기술적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 보다 근본적인 몇 가지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첫째로 콘텐츠의 자유로운 복사, 인용, 배포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전자책은 DRM 툴을 통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나 단말기에서 전자 문서를 볼 수 없도록 콘텐츠의 열람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보유하고 있는 전자책이라 하더라도 흔히 사용하는 텍스트의 전체 혹은 부분적인 COPY & PASTE가 불가하다. 단말기뿐 아니라 PC 상에서도 DRM과 연동되는 프로그램 안에서만 부분적인 추가 기능(책갈피, 밑줄 등)만을 지원한다. 이는 사용자가 손쉽게 콘텐츠를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유를 막는다.
둘째는 DRM 툴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전자책의 불법 복제 및 무단 배포의 가능성이 항시 존재한다는 점이다. 대다수의 출판업계가 우려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며 이 문제는 이미 음반 시장에서 mP3 파일로 그 폐해를 경험한 것이기도 하다. 사실 이는 첫 번째 문제와 어떤 면에서 모순적인 관계이기도 하다. 전자 콘텐츠의 DRM이 풀릴 경우 개개인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지만 그 순간 수많은 고가의 전자책들이 인터넷 상에 돌아다니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출판 시장은 전자책을 통한 수익 구조를 흔들어서 결국 출판업계 자체를 순식간에 무너뜨릴 수도 있다.
셋째로 저작권 자체에 대한 인터넷 서점과 출판업체 사이의 갈등이다. 저작권 문제는 애플의 아이튠즈 내에 설치된 앱스토어와 음반사와의 갈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MP3 포멧이 음반 시장의 불법복제의 통로로 활용되면서 이를 잘 활용한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각 음반사와 음악 한 곡에 대한 다운로드 가격을 저가로 체결하였는데 이를 통해 앱스토어가 음반시장의 중심으로 올라서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비슷한 사례가 온라인서점인 아마존과 메이저급 출판업체 사이에서 이미 문제된 바 있으며 구글북스와 저작자, 혹은 국가 사이에서 지금까지 협의 중인 뜨거운 감자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정리된 바로는 전자 콘텐츠에 대한 판권을 종이책과 별도로 가져가게 되었으며 구글북스도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저자와 저작권을 협의하도록 규제하고 있다(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 구글과 출판사 간에 온라인에서 자유로이 출판•저작물을 노출할 수 있도록 2008년에 맺은 1억2500만 달러 상당의 계약이 무효라는 판결이 나왔다고 한다). 이러한 구도는 점점 더 저자와 인터넷 서점 사이의 직접적인 협의를 가능하게 만들고 있으므로 출판업계는 자신의 입지를 줄어들게 만드는 이 변화들을 마냥 환영할 수 없는 실정이다. 게다가 오픈소스, 카피레프트 운동을 지향하는 그룹에서 저작권 자체의 허용에 대한 목소리도 높다.
마치면서: 출판업계는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
전자책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이미 9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최근 아마존의 전자책 판매량 증가와 애플 아이패드의 등장으로 국내에서도 단말기의 개발과 컨텐츠의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전자책 시장의 핑크빛 기대와는 달리 전자책에 대한 대중들의 수요와 관심이 아직 그렇게 높지는 않다. 출판업계에서도 전자책 시장 진출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로선 앞서 언급한 여러 장애 요소들로 인해 선뜻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현재의 전자책 시장은 인터넷 서점과 같은 온라인 서비스업체에서 시장선점을 위해 단말기를 앞세워 출판업계의 등을 떠밀고 있는 형국이다. 하지만 시장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아마존은 지난 1월 전자책 판매가 종이책을 앞질렀다고 발표했고 애플은 지난해 4월 이후 아이북 온라인샵에서 다운로드된 전자책이 1억개에 이른다고 밝혔다. 반스앤노블의 임원 마크 패리시는 “앞으로 24개월 안에 전자책이 출판산업을 지배할 것”이라고 말했고 포레스터앤가트너 리서치은 올해 1800만대의 전자책 단말기가 팔릴 것으로 예상했다.
전 자책 시장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하루가 다르게 첨단 단말기 개발이 진행되고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도 개인의 컨텐츠 출판이 가능한 수준까지 변화하고 있는 지금 그 미래를 섣불리 단언할 수는 없을 것이다. 미래를 예측하긴 어렵겠지만 나는 출판업계 입장에서 현 시점이 전자책 시장에 대한 좀더 명확한 기술적 이해와 단기적 장기적 청사진을 가지고 보다 적극적 시장 진입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음반 시장이 결국 음원 대부분의 판매를 애플의 아이튠즈에 넘겨준 것을 귀감으로 삼아 미래의 출판 시장에 대한 큰 그림과 그에 대한 명확한 기술, 컨텐츠 및 판매 전략을 가진 자만이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조만간 흥미로운 전자책 시장의 한 판 승부가 될 듯 하다. (끝)
참고문헌
사사키 도시나오, '전자책의 충격',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년 7월
강승태, 절판 도서 전자책으로 부활한다, 디지털타임즈, 2011년 4월 8일
정미나, [아이패드2 499달러 쇼크] <하>새로운 게임룰 '생태계', 전자신문, 4월 1일
김성모, 올해 전자책 기기 1800만대 팔린다, 조선일보, 2011년 3월 28일
민상식, 반스앤노블 “e북 매출 2년내 종이서적 상회”, 파이낸셜뉴스, 3월 28일
서동민, 전자책(e북)의 표준 – ePub, IT동아 2011년 3월 15일
임정욱, 전자책 춘추전국시대 최후의 승자는?, 시사IN 147호, 2010년 7월 10일
파이낸셜뉴스, [출판계 e-book 열전] (1)프롤로그~(8)㈜한국출판콘텐츠, 2010년 2월 17일~4월 14일
송창섭, 출판•잡지•신문•이통사 ‘헤쳐모여’ - ‘콘텐츠 전쟁의 총아’ e북, 한국경제매거진, 2010년 2월 15일
한기호, 출판사와 전자책 ‘공생의 길’, 한겨레, 2010년 2월 5일
한기호, 출판생태계 위협하는 디지털 도서관, 한겨레, 2009년 12월 4일
한윤정, 넌 종이책 보니? 난 전자책 본다, 경향신문, 2009년 12월 3일
‘전자책’ 열풍…아마존 ‘킨들’ 성공요인 무엇일까?(1)~(3), 디지털데일리 2009년 10월 22일~27일
구본권, 디지털, 출판의 미래 바꾼다, 한겨레, 2009년 10월 16일
정지연, [이머징 이슈] 책의 진화, 전자신문, 2009년 10월 1일
김승룡, [알아봅시다] 전자잉크, 디지털타임스, 2009년 7월 22일
김중태, '킨들' 독서•신문구독 문화 바꾸나, 한국일보, 2009년 6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