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오마이뉴스에 쓴 <아내가 지금껏 이런 일을 해왔단 말인가> 기사 반응을 보면서 느낀 점 몇 가지.
일단 반응이 뜨거웠다. 페북 좋아요 500회를 넘겼고 기사 점수도 <닥치고 정치> 서평 다음으로 높았다. 무엇보다 시민 5명에게 원고료도 받았다. (몇달 전에 기고한 기독매체 원고료는 아직도 무소식인데)
반면, 우는 소릴 자주 했듯 댓글들은 마치 조선일보나 일베에서 볼 법한 내용이 많았다. 정리하자면 여성들은 뭔가 시원함을 느낀 것 같고 반면 남성들은 공감하는 분들도 있었겠지만 뭔가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이 있어보인다.
그 불편함은 이런 게 아닐까. 남성도 '지금도 충분히 고생을 하고있고 힘든데 가부장제의 원흉처럼 취급받는다'는 일종의 역차별 내지는 피해의식 같은 거다. 과거에 가부장제가 어떤 고압적 규율에 의존했다면 지금의 가부장제는 이런 류의 조금 변형된 형태로 유지되는 것도 같다.
각설하고. 나는 남성이지만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 스스로 여성성을 확장시키고, 공공연하게 유사페미니스트 내지는 '언니'라고 칭하는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여성주의 운동가들과 달리 나는 성해방운동의 주체로서 남성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남성이 행위의 주체이자 동반자가 되어야 현실적으로 풀리는 문제가 많기 때문에 그렇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남성이 받아들일 수 있는 언어와 상황으로 어떤 '설득'을 하고 싶은 거다. 여성동지들 안에서 어떤 포퓰리즘을 일으키고 싶은 게 아니다.-_-;;;; (뭐 그것도 나쁘진 않다만...) 헌데 이 기사를 쓰면서 나는 내가 남성과 점점 불통의 단계로 다가가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진.심.으.로.
가끔 나는 두란노아버지학교(기독교에서 하는 자상한 남편 교육 프로그램인데 다분히 가부장적이다)에 대항마로 여성주의관점의 아버지학교와 세미나를 만드는 상상을 한다. (주위에서 부채질도 하고) 근데 요즘은 아내의 협박에 못이겨서 똥씹은 표정을 하고 들어오는 남편들이 떠오를 때가 많다. 이,,,, 이건 아니다 싶다.
결국 오늘 미생 123회 이야기처럼 부모가 모두(성차별없이) 행복해야 자녀가 행복하고 자녀가 행복해야 그들이 다음 세대에 빛을 발할텐데 그 조건으로 볼 때 여성이 불행할 만한 요소가 한국사회에는 너무 많고 그것을 조정하고자 하는 노력은 남성도 행위 주체자로서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내 글은 남성에게 공감을 주는 부분에 좀 부족하지 않았나 하는 반성을 해본다.
사실 그런 생각이 있다. 남성-여성, 구도를 보수-진보, 비전라도-전라도, 백인-흑인에 대치시켜도 공감대가 될 만큼 여성문제는 치명적이지만 너~무 시시콜콜, 째째, 미시적, 가정사적이라 글꽤나 쓰는 논객들이 쳐다보지 않는 영역이다. 그도 누군가의 남편일테니 그럴 수도 있고.
그런 대결 혹은 이항 구도를 탈피해야만 가능한 남성-여성 주체적 행위로서의 여성운동을 꿈꾸면서 이 벽을 더 높게 쌓는 건 아무래도 좀 아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는 말이다. 암튼 며칠동안 많이 배웠다. ...벌써 주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