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에 영화를 두편 봤다. <남쪽으로 튀어>와 <더 헌트>.
#1.
두 영화의 주인공 모두 사회가 밀어내는 캐릭터들이다. <남쪽으로 튀어>의 최해갑은 국가로부터 그리고 자기가 대학시절 함께했던 운동권 출신 정치인들조차 불편해하는 캐릭터다. <더 헌트>에서 루카스는 유치원 교사인데, 친구 어린 딸의 거짓말로 인해 성추행범으로 몰리면서 동네의 절친들 대부분에게 비난을 받게 된다.
이 두 편의 영화를 보면서는 사실 별로 힘들지 않았다.(레미제라블 때와는 달리) 두 편의 영화 모두 나름 해피엔딩인 이유도 있다. 최해갑은 국가의 눈을 피해 달아난 채로 생활을 계속하고 루카스는 결국 자신의 누명을 벗는다. 하지만 두 영화 모두 해피엔딩었기 때문에 힘들지 않았다기 보다는, 오히려 두 영화가 너무 개연성있는 현실을 보여줘서, 내 주변 그 누군가가 겪은 사건을 잘 풀어내면 이런 영화가 될 것 같다는 생각 때문이었던 것 같다.
다수의 사람들이 지배하는 세상은, 그 진영이 같건 다르건 원래 그 사람의 편이었건 아니었건 그 사람에게 일어난 위협 혹은 누명, 혹은 오명, 나쁜 평판이 불거지면 대체로 주인공을 등진다. 영화속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그렇다. 최해갑의 주변이 그렇고, 루카스의 친구들이 그랬다. 그 둘의 명약관화한 상황이, 어떤 대세랄까 혹은 지배적 정서에 소수의 올곧은 목소리가 희미하게 묻히는 느낌이 강하다.
#2.
하지만 나는 이 두편의 영화를 보면서 깊이 깨달은 것이 있다. 그 사람 주변 소수의 사람들이 그의 진심을 헤아리고 실제적으로 도와주고 그들과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정말 '극'소수다. 또한 대체로 어떤 진영을 대변하는 부류가 아니라 그를 인간적으로 잘 알고 아끼는 이들이다. 그들은 그의 오명에도 흔들림이 없다.
예전에는 오정현 목사같은 길을 걷게 될 때 나를 깨우쳐줄 냉정한 비판자들이 주변에 많아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물론 지금도 그런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살아보니 내 진영 사람들의 냉정함 또한 공포스럽다. 패자부활전이 없는 한국사회에서 진보진영도 언행 하나 흐트러지면 끝장이다.
지금은 좀 자유로워졌는데 한동안 나는 글쓰기에 조금 짓눌려 있었다. 반론을 예상하는 글쓰기에 익숙해져 있었다고나 할까. 때로 내 글은 지나치게 방어적이라는 지적도 받았다. 게다가 교계에서 신학자도 운동가도 아닌 어정쩡한 위치 때문에 글 자체에 대한 열등감도 높았다. 무엇보다 누군가를 옹호해야 할 시점에서 나는 머뭇거렸고 눈치를 봤다.
어느순간 이 모든 긴장감이 지겨워졌다. 내가 방어해야하는 논리의 치밀함이 사안을 둘러싼 사람들, 인격들보다 더 중요한 문제인가 하는 생각도 많이 들었고. 무엇보다 정작 내가 해야할 말들은 가려가며 해대고, 안 해도 될 말들을 만들어 내는 긴 시간들이 한심하게 느껴졌다. 시간은 나를,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3.
물론 지금도 나는 사람들의 눈치를 본다. 회사에서도 그렇고. 페북에서도 나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져도 불편하고 페친이었다가 아닌 상태가 되는 사람들이 생겨도 불편하다. 어떤 이슈에 따라 진영이 나뉘거나 누군가를 옹호하면 그로 인해 호불호가 갈라지는 대목에서 특히 그렇다. 여전히 나는 신경이 쓰이고 글을 쓰고서도 후회가 될 때도 있다.
누군가의 반응에 신경을 쓰고 눈치를 본다는 것은 나의 '옳은' 생각, 나의 기호, 나의 삶의 태도를 대중에게 호소하고 싶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대중의 지지와 칭찬에 대한 욕망이 어느정도 전제된 행위이다. 대체로 많은 사람들이 진영 안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싶어하고 그들의 지지를 얻으며 운동성을 얻고자 애쓴다.
하지만 당사자가 오명을 얻을 때 추락하는 것은 순식간이다. 오명이 아니라 정말 잘못을 한 것이라면 더더욱이 재기가 쉽지 않다. 말실수 하나로도 텍스트 독해 자체를 못하는 비전문가가 될 수 있고 누군가를 옹호하다가 당신이 그럴 줄은 몰랐다며 순식간에 친구에서 친구-아님으로 변할 수 있다. 루카스는 하지도 않은 아동 성희롱으로 누구보다 자신을 잘 아는 친구에게 멱살을 잡힌다. 그게 정상적인 인생이고 삶이다.
나는 내 지지자가 많아지길 간절히 원하는 20대를 보냈다. 30대에는 20대의 구호로 살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심하게 좌절하고 주눅이 들었다. 지금은 그저... 거품을 빼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도 나는 여전히 눈치를 보는 내 모습을 전지적작가 시점으로 돌아본다.^^ 이 두 영화는 내 고질적 고민을 돌아보게 만든다. 지지자를 넓히는 삶은 위험하다. 그저 내 주변을 밝히는 삶이 더 유익하고 가치있다. 내가 내린 결론은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