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처럼 글쓰기, 글처럼 살기'를 꿈꾸며

Posted
Filed under 컨텐츠/페미니즘

페이스북에서 집단 지성의 결과로 정리한 페친들이 애정하는 여성 글쟁이들을 모아봤습니다.
블로그에도 올리니 참고하세요.

-------------------
 
정혜신
 정신분석이라는 전문영역을 맑은 정서적 감성으로 전달하는 정신과전문의이자 정신건강 컨설팅 기업인 ‘마인드프리즘㈜’의 CCO(Chief Contents Officer)이다. 연세대 의대를 졸업했으며 연세대와 아주대 의대 외래 교수를 지냈다. 1996년부터 여러 기업의 중견 관리자를 대상으로 '자아경영 프로그램'을 진행하는가 하면, 대규모 구조조정 과정에서 살아남은 직장인들의 심리적 공황상태를 연구한 'ADD 증후군'을 제기하며 화제를 모았다. 이밖에 기업경영에 정신의학을 접목시킨 '심리경영' 등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저서로는『불안한 시대로부터의 탈출』『남자 vs 남자』『사람 vs 사람』『삼색공감』『21세기에는 바꿔야 할 거짓말』(공저) 『홀가분』등이 있다.
 

정희진
 여성학은 하나의 분과가 아니라 인간과 사회를 多학제적, 間학문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가정폭력과 여성인권』,『페미니즘의 도전』을 썼고,『한국 여성인권운동사』,『성폭력을 다시 쓴다』을 엮었으며, 그 외 여러 책을 함께 썼다.

김현진
 이제 막 삼십대에 접어든 글쟁이다. 1999년, 강압적이기만 한 고등학교를 박차나고 나와 『네 멋대로 하라』를 쓴 이후로 줄곧 글로 목소리를 내며 살았다. 88만원세대를 대표하는 그녀는 늘 거친 현실과 사투를 벌이듯 뜨거운 마음으로 살았다. 집도 절도 돈도 빽도 없이 도시빈민으로, 비정규직 노동자로 살아왔지만, 가진 건 없어도 긍지는 있다고 자부한다. 거침없이 솔직하고 당찬 그녀의 글은 그런 특유의 굴하지 않는 강인함에서 나온다. <한겨레><시사IN> 등에 칼럼을 써왔고, 2011년 현재 <경향신문>에 기고 중이며, 지은 책으로는 『불량소녀백서』『질투하라 행동하라』『그래도 언니는 간다』『누구의 연인도 되지 마라:김현진의 B급연애 탈출기』 『뜨겁게 안녕』 등이 있다.
 

조한혜정
 1948년 부산에서 태어남.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UCLA 대학에서 인류학 박사를 수료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강의를 맡고 있음. ‘또 하나의 문화’를 통해 여성문화, 페미니즘 이론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담론들을 제시하고 생산해 왔음. ‘하자센터’를 통해 작업장 학교라는 대한학교를 설립하고, 노리단이라는 사회적 기업을 발족시켜 청소년 문화운동과 대안교육의 다양한 실험을 해옴. 현재 환경운동연합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우정과 환대가 가득한 공동체 마을의 복원을 꿈꾸고 있음. 저서로 <한국의 여성과 남성>,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 한국의 여성과 남성 2>, 연작 형태의 문화 비평서인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1·2·3>, 교육 현장을 다룬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가 있으며, 마거릿 미드의 <세 부족 사회에서의 성과 기질>를 번역했다.

김혜리
 서울에서 태어나 역사를 공부하고 영화잡지 기자가 되었다. 다른 일은 한 적이 없다. 『씨네21』을 만드는 과정에서 쌓인 글을 묶어 리뷰집 『영화야 미안해』, 인터뷰집 『그녀에게 말하다』 『진심의 탐닉』을 책으로 냈다. 영화 속 한 컷을 관찰한 짧은 에세이를 모은 책 『영화를 멈추다』가 『그림과 그림자』와 사촌에 가깝다.
 

목수정
 목수정은 공연 예술, 문화 정책 분야에서 일하다가 현재 파리에서 문화, 여성, 정치 분야의 글을 쓰며 살고 있다. 나이 차가 스무 살 넘게 나는 프랑스 남자와 비혼인 채 아이를 낳고 사는 만만치 않은 미션을 수행하고 있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는 《뼛속까지 자유롭고 치맛속까지 정치적인》 《야성의 사랑학》 등이 있다.
 

장영희
 1952년 9월 14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강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뉴욕 주립대학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컬럼비아 대학에서 1년간 번역학을 공부했으며, 서강대 영미어문 전공 교수이자 번역가, 수필가, 칼럼니스트, 중·고교 영어 교과서 집필자로 왕성한 활동을 했다.《문학의 숲을 거닐다》와 영미시 에세이 《생일》, 《축복》의 인기로 ‘문학 전도사’라는 별칭을 얻었다. 김현승의 시를 번역하여 ‘한국 문학 번역상’을 수상했으며, 2000년에는 월간 <샘터>에 연재했던 글들을 모아 첫 수필집 《내 생애 단 한번》을 펴냈다. 이 책으로 2002년 ‘올해의 문장상’ 제 1회 수상자가 되었다. 2003년에는 아버지인 故 장왕록 교수의 추모 10주기를 기리며 기념집《그러나 사랑은 남는 것》을 엮어 내기도 했다. 마지막 수필집인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을 완성해 희망의 빛을 남기고, 향년 57세의 나이로 타계하였다. 타계 후 1주기 기념 유고집 《이 아침 축복처럼 꽃비가》가 출간되었다.
 

박완서
 1931년 경기도 개풍 출생. 숙명여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국문과에 입학하였으나 한국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하였다. 1970년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에 『나목』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2011년 1월 향년 80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작품으로는 소설집 <엄마의 말뚝> <꽃을 찾아서> <저문 날의 삽화> <한 말씀만 하소서> <너무도 쓸쓸한 당신> <친절한 복희씨> 등이 있고, 장편소설 <휘청거리는 오후> <서 있는 여자>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미망>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아주 오래된 농담> <그 남자네 집> 등이 있다. 한국문학작가상(1980), 이상문학상(1981), 대한민국문학상(1990), 이산문학상(1991), 현대문학상(1993), 동인문학상(1994), 대산문학상(1997), 만해문학상(1999) 등을 수상하였다.
 

김류미
 강남이 허허벌판일 때부터 거기 살았고 반지하 자취생활을 거쳐 다시 강남에 산다. 몇 년 간의 알바 인생에서 얻은 좌우명은 ‘일하는 것은 살아가는 것이다’였다. 졸업 후, 1년간 희망청에서 일하며 ‘88만원 세대’라는 접점을 고민했다. 블로그질을 좋아했지만, 지금은 트윗질에 집중하는 편. 구원 같았던 책을 만들고 소개하며 마침내 쓰게 된 행운도 누렸지만, 여전히 좋은 기획자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갖고 있다. 여전히 하루하루가 산만하다. 저서로 <은근 리얼 버라이어티 강남소녀>가 있다.
 

노혜경
 시인. 정치에 사랑이라는 담론을 이끌어들인 노사모를 만드는 데 기여했고, 말과 글과 삶의 일치를 통해 지식인의 실천을 꿈꾼다. 탈근대의 정치는 시(詩)여야 한다고 믿는다. 지은 책으로 <새였던 것을 기억하는 새>, <뜯어먹기 좋은 빵>, <천천히 또박또박 그러나 악랄하게> 등이 있다.
 

강금실
 1957년 제주도에서 태어나 1975년 경기여고를 졸업했다. 1979년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여 1981년 23회 사법고시에 합격하여 법조인으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83년~1995년 판사로 재직(1994~1995 서울고등법원 판사)하였고, 2000년에는 법무법인 지평 대표 변호사를 맡았고, 2001년에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부회장을 역임했다. 2003년 첫 여성 법무부장관으로 임명되면서 뜨거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현재 여성인권대사, 아시아재단우호협회 이사, 법무법인 우일아이비씨 고문 변호사를 맡고 있다.
 

고은광순
한의사, 마인드 힐링 전문가. 1955년 서울 출생. 이화여자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3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했으나 학생운동으로 2회 구속, 2회 제적됐다. 1984년 대전대 한의예과에 입학, 학사·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한한의사협회와 한국한의학연구원 감사를 지냈으며, 1998년부터 사회운동에 적극 참여해 호주제 폐지, 부모 성 함께 쓰기, 종교법인법 제정 운동을 주도했다. 현재 충청남도 시골에서 솔빛한의원을 운영하며 빛사람수양회를 이끌고 있다. 또 새로운세상여성연합 대표로 여성평화행복학교를 운영하며 한겨레 휴센터와 공동 주관으로 ‘고은광순과 함께하는 여성 건강 교실’(2박 3일)을 열고 있다. 곧 충북 옥천 지역에서 공동체 마을을 시작할 계획이다. 저서로 《어느 안티미스코리아의 반란》 《한국에는 남자들만 산다》 등이 있고, 《펄루, 세상을 바꾸다》 《그래도 내일은 희망》 《웃을 순 없잖아!》 《엄마가 결혼했어요》 등 청소년을 위한 번역서가 여러 권 있다.


김형경
 소설가이자 시인. 1960년 강릉에서 태어나 경희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83년 《문예중앙》에 시가, 1985년 《문학사상》에 중편소설 《죽음 잔치》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1983년 첫 장편소설 《새들은 제 이름을 부르며 운다》로 제 1회 국민일보 문학상을 수상하며 전업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장편소설 《세월》,《피리새는 피리가 없다》,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성에》, 《외출》, 《꽃피는 고래》를 발표했고, 창작집 《단종은 키가 작다》, 《담배 피우는 여자》, 시집 《모든 절망은 다르다》 등을 펴냈다. 심리 에세이로 《사람풍경》, 《천 개의 공감》, 《좋은 이별》,《만가지 행동》이 있다. 제10회 무영 문학상을 수상했다.


권윤주
고양이와 재즈, 카페를 사랑하는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카투니스트이다. 대학 졸업 후 각종 일러스트레이션과 캐릭터 작업을 해왔다. 만화 웹진 <넷터치 코믹스>에 카툰을, 영화 잡지 FILM 2.0에 '스노우캣의 영화일기'를 연재했다. 그녀는 자신의 홈페이지 http://www.snowcat.co.kr/ 에서 Snowcat이란 이름으로 일상생활을 잔잔하면서도 유머러스하게 그려 일반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스노우캣은 네티즌들 사이에 '귀차니즘', '귀차니스트'라는 말을 퍼뜨렸으며, '혼자 놀기'와 '카페 놀이' 등을 유행시키기도 했다. 작품집으로 <Snowcat in New York>, <Snowcat의 혼자 놀기>, <Snowcat in Paris>, <Snowcat Diary>(1·2권), <To Cats 고양이에게>가 있으며, 삽화를 그린 책으로 <웃지 마 나 영어책이야>, 표지 그림을 그린 책으로 피터 게더스의 <파리에 간 고양이>, <프로방스에 간 고양이>, <마지막 여행을 떠난 고양이> 등이 있다. 2002년 제1회 독자만화대상 온라인 만화상, 2006년 제24회 프랑스 3천만 동물 친구들을 위한 재단 문학상을 수상했다.
 

김여진
영화배우. 2011년 부일영화상, 2002년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2000년 대종상영화제, 1999년 춘사대상영화제, 1998년 청룡영화상 수상. <청춘콘서트 2.0 청춘, 외치다>에서 ‘행동하는 청춘 Action!’이라는 내용으로 청년들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의제와 행동을 제안하는 액션토크를 서울에서 진행하였다. 청년들의 현실적인 문제와 대안을 함께 만들어나갔으며, 정의로운 영혼이자 행동하는 여배우로 불리고 있다. 다수의 연극에 출연하며 연기력을 쌓았고 영화, TV 등 다양한 매체에서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연기를 하는 여배우다. @yohjini

 
나임윤경
 연세대학교와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학교 교육학과 성인(여성)교육학을 공부했으며,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여성들의 삶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밝히는 일, 대한민국 여성들의 현주소를 성찰하고 불합리한 사회를 바꿔나가는 일에 열정적이다.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젠더연구 입문』, 『여성교육 개론』, 『여성커리어와 리더십』과 같은 여성학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여자의 탄생』, 『여성교육과 실천』, 『여성과 남녀공학대학교의 ‘공정한’ 만남을 위하여』등이 있다.
 

공지영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1988년 계간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단편 〈동트는 새벽〉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 장편소설 《더 이상 아름다운 방황은 없다》《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착한 여자 1,2권》《고등어》《봉순이 언니》《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즐거운 나의 집》《도가니》등이 있고, 소설집으로 《인간에 대한 예의》《존재는 눈물을 흘린다》《별들의 들판》, 산문집 《공지영의 지리산 행복학교》《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공지영의 수도원 기행》《상처 없는 영혼》《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아주 가벼운 깃털 하나》등이 있다. 21세기문학상, 한국소설문학상, 오영수문학상, 앰네스티 언론상 특별상, 제10회 가톨릭문학상, 2011년 제35회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김려령
 서울예술대학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했다.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마해송문학상, 창비청소년문학상을 받았다. 첫 소설 『완득이』가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 독자까지 아우르며 큰 사랑을 받고 있으며, 영화로도 만들어져 다시 한 번 주목받았다. 대표 작품으로『우아한 거짓말』,『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 『기억을 가져온 아이』, 『요란요란 푸른아파트』, 『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 가 있다. 『우아한 거짓말』은 ‘2012 IBBY(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 어너리스트’로 선정되었다.
 

나희덕
 1966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뿌리에게」가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시집으로 『뿌리에게』,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그곳이 멀지 않다』, 『어두워진다는 것』, 『사라진 손바닥』, 『야생사과』 등이 있고, 산문집 『반 통의 물』, 시론집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 편저 『아침의 노래 저녁의 시』『유리병 편지』등을 펴냈다. 2011년 현재 조선대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8년 소월시문학상, 2005년 이산문학상, 2003년 현대문학상, 2001년 김달진문학상, 1998년 김수영문학상,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수상.
 

유인경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경향신문 여성부 부장을 거쳐, 현재 경향신문사의 시사주간지 '뉴스메이커'의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유인경의 해피먼데이>, <웬수들과 살기>, <내 인생 내가 연출하며 산다>,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 등이 있다.
 

어슐러 르 권
 1929년 10월 21일, 미국 버클리에서 인류학자 알프레드 크로버와 작가 디어도어 크로버 사이에서 태어났다. 가장 이른 작품들은 <오시니아의 이야기>와 <말라프레나> 등에서 다시 보게 되듯 가상의 나라를 배경으로 하기는 하지만 판타지가 아니었다. 관심사를 살려 출판할 방법을 찾던 르 귄은 초반기 과학소설에 대한 관심을 돌이켰고, 1960년대 초반부터 정기적으로 출판을 하기 시작했다. 르 귄은 1969년에 출간한 유명한 과학소설, <어둠의 왼손>으로 '휴고 상'과 '네뷸러 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미국과 영국에서 백만 부 이상이 팔리고 16개국에 번역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어스시의 마법사> 시리즈는 <반지의 제왕>, <나니아 연대기>와 더불어 세계 3대 판타지 소설로 꼽힌다. '휴고 상', '네뷸러 상'을 십여 차례 수상했으며, 그 외에도 '세계 환상문학상'과 '카프카 상', '필그림 상'을 수상했으며 세계 과학소설 연맹에서 수여한 '간달프 상'을 1979년에 수상하였고, 과학소설과 판타지 소설에 기여가 큰 사람에게 수여하는 '그랜드 마스터 상'을 2003년에 수여받았다.
 

한나 아렌트
 제2의 로자 룩셈부르크로도 불리는 한나 아렌트는 시몬느 베이유, 로자 룩셈부르크, 에디트 슈타인과 함께 4대 유태인 여류 철학자로 꼽힌다. 아렌트는 1906년 독일의 하노버에서 유태인으로 태어났다. 그녀는 유태인으로서의 자의식을 평생 강하게 간직하며 살았는데, 이러한 조건이 그의 삶이나 사상에 끼친 영향도 적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독일 아카데미로부터 프로이트 상을, 덴마크 정부로부터 소니그 상을, 함부르크 시로부터 레싱 상을 수상하는 등 50년대와 60년대를 실천적 강의와 저술 활동으로 빼곡이 채우며 세계 지성인의 주목을 받았다. 미완성작으로 남은 <정신의 삶>을 집필하던 중, 1975년 12월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지은책으로 <전체주의의 기원>, <인간의 조건>,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혁명에 관하여>, <공화국의 위기> 등이 있으며 사후에 <정신의 삶>, <칸트의 정치 철학 강의>가 출간되었다.
 

수전 손택(Susan Sontag, 1933~2004)
 1933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15세가 되던 1948년 버클리의 캘리포니아에 입학해 일찍부터 대학 생활을 시작했다. 같은 해 시카고 대학으로 옮긴 후 그곳에서 강의를 하고 있던 28세의 젊은 사회학도 필립 리프와 결혼, 1952년에 첫 아들 데이빗을 낳았다. 1955년 하버드 대학의 철학 박사학위 과정에 들어간 뒤 1957년 학위를 수여하고, 이듬해 파리 대학, 옥스퍼드 대학, 소르본 대학에서 수학하며 다시 학계로 돌아 왔다. 그 뒤 1959년부터 뉴욕시립대학, 사라 로렌스 대학, 컬럼비아 대학 등에서 철학 강의를 맡게 된 이후 1960년부터 각종 신문과 잡지에 활발한 기고 활동을 펼쳤다. 이때 첫 번째 소설 <은인>(1963)을 발표하면서 서서히 문단과 학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후 에세이 작가이자 소설가이며 예술 평론가로 입지를 굳혔다. 지은책으로는 평론모음집 <해석에 반대한다>, <은유로서의 질병>, <타인의 고통> 등이 있으며, 2003년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올해의 평화상(Peace Prize)'를 수상했다. 2004년 12월, 골수성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니콜 크라우스
1974년 미국 뉴욕의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마르케스의 소설 『백 년의 고독』에 반해 10대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주로 시를 썼으며 이십 대에 시인으로 등단했다. 스탠퍼드 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미술가 조지프 코넬에 대한 논문을 썼다. 이 년 동안 마셜 장학금을 받으며 영국의 코톨드 미술 연구소에서 미술사를 공부해 석사 학위를 받았다. 철학과 예술 전반을 깊이 있게 공부한 니콜 크라우스는 남편 조너선 사프란 포어와 함께 뉴욕 문단에서 분더킨트(신동)로 불린다. 2002년에 출간한 첫 소설 『남자, 방으로 들어간다』는 기억과 정체성, 고독과 관계에 관한 이야기를 강렬하게 담아낸 작품이다. 니콜 크라우스는 이 소설을 통해 작가적 상상력과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특유의 서정적인 미스터리 기법으로 사랑을 이야기한 두 번째 소설 『사랑의 역사』(2005)는 출간 당시 뉴욕 문단의 최대 화제작으로 떠올랐으며, 35개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랐다.


레베카 피펏
일리노이 주립대와 바르셀로나 대학, 리전트 칼리지, 하버드 대학에서 공부했다. 국제적인 강연자이자 저술가로, 여러 학교와 목회자 훈련 세미나에서 영적갱신, 전도, 성품 훈련 등에 대한 강연을 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빛으로 소금으로>, <하나남의 마음에 합한 사람>, <전도>, <토마토와 빨간 사과>등이 있다.




 *소개글 출처: 온라인 서점 알라딘

2012/06/16 01:09 2012/06/16 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