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처럼 글쓰기, 글처럼 살기'를 꿈꾸며

Posted
Filed under 단문모음/단상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것들을 돌아보고 있다.
1.
컨테이젼, 나아가 인터스텔라에서나 보던 디스토피아의 정서에 물들고 있다. 사실, 이 또한 지나가겠지만 이따금씩 이런 불편하고 어려운 상황들이 지나가는 게 아니라, 지속되어서 이런 환경에 적응해야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다. 이게 그냥 일상이라면 나는 삶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게 될까, 가져야 할까.. 이런 생각.

2.
뜬금 없겠지만, 코로나19 사태로 '호텔엔조이'가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갔다. 생각이나 했겠나.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도 당장 월세를 감당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많은 교회들도 교인들의 헌금을 담보로 건물에 월세를 감당하고 있을 것이므로, 한 두번은 주일 예배를 포기할 수 있겠지만 장기화되면 교인돈을 땡겨 은행돈을 막아야 하므로 최대한 온라인 예배 시점을 늦추고 싶을 것이다.

3.
디스토피아와 교회 월세 생각까지 이르다 보니. 기독교 신앙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나는 기독교인이면서 그간 기독교인으로 살아온 흐름과 이질적인 요즘의 분위기를 경험한다. 사실 밀레니엄 이전의 기독교의 한축은 '선교'였다. 노스트라다무스를 신봉하거나 이단이 아니더라도, 2000년이 오기 전에 예수가 재림하길 갈망하는 교회의 분위기가 분명 존재했다.

3-1.
이런 교회 분위기의 전제는 새하늘과 새땅, 천국, 즉 내세 신앙이 근저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교회는, 목사는 주저함없이 이 땅에 미련을 두거나, 재산을 쌓거나, 현세에 즐거움을 취하는 태도를 정죄했고 천국을 기다리고, 재림 예수를 기다리는 신앙을 독려했다. 내 생각에 이른바 '카르페디엠' 철학을 교회가 흡수한 것은 2000년 이후에 '사회참여' 이슈와 헨리나우엔 영성을 거쳐 독특하게 기독교에 들어온 세속적인 성향의 흐름이라는 생각도 든다. (물론, 그런 흐름이, 세속적이라는 것 자체가 부정적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3-2.
사실, 전XX 목사의 망발 중에 '죽음이 두렵지 않다'고 떠드는 대목은, 아이러니하게도 다분히 2000년 이전에 빈번했던 기독교적인 언사다. 지금도 몇몇 또라이 목사들만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심판이니, 하나님의 뜻이 있다느니 떠들어대고 있고 그런 이들과 거리를 둔 멀쩡(하게 보이려고 그들을 비판하고 구별된 입장을 견지)한 목사들은 개인 위생, 정치적인 이슈의 경계 등등과 같은 다분히 비종교적 영역, 상식적인 영역, '세속적 영역'의 설교와 언사만을 일삼는다.

4.
아마도 내가 아는 기독교, 2000년 이전의 그 종교성의 틀이라면 코로나19에 대한 신앙적인 언사들이 빈번했을 것이다. 가장 드라마틱한 언사를 가정하자면 신천지를 심판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이라고 할 수도 있겠고, 보다 온건하게는 인간의 죄가 땅을 병들게 하고, 동물들을 병들게 하여 이제 심판날이 가까이 왔으니 더 간절히 회개하고 기도하라는 설교가 빈번했을 것이다. 하지만, 별종이 아닌 이상, 대부분의 기독교 신앙인들은 서로에게도 그런 류의 언사를 자제하는 것 같다.

5.
내가 가장 흥미로워하는 대목은 밀레니엄 이전과 이후의 (한국) 기독교는 분명 불연속적 신앙관이 있는 것 같은데, 그 불연속점에 대한 적절한 설명, 신학, 변론 같은 게 없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미 그러나 아직'이라거나 '복음전도 사회참여, 양날개' 등등의 양쪽을 어정쩡하게 긍정하는 움직임이 있긴 했지만, 이렇게나 적극적으로 세속적 가치를 부여잡고 '재림예수'라는 단어조차 혐오하면서 문재인 정부와 마스크 얘기만 나누는 기독교는, 정작 그 안에 차별적 종교성이 존재하는 것일까. 신천지나 극우기독교 단체와의 구별된 모습을 보이기 위해 종교성 자체를 제거한 건 아닌가. 혹은 이전과는 다른 길을 발견한걸까. 종종 그런 의문이 든다.

사족.
이건 거의 신앙에 대한 내 독백에 가깝다. 고로, 꽤 끄적이긴 했지만 소셜하게 나눌 거리는 아니라는 말.
2020/03/16 21:32 2020/03/16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