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승완 감독의 신작[부당거래]가 개봉되고 PD수첩의 [검사와 스폰서]편이나 김두식 교수의 저서인 [불멸의 신성가족]을 언급하는 글들이 많았다. 그도 그럴 것이 건설회사 사장의 로비와 검사 접대, 경찰 비리가 함께 어우러져 있어 소재로 보나 이야기의 전개로 보나 PD수첩과 김두식 교수 책의 영화화로 인식할 수도 있을 법 하다.
하지만 이 영화의 플롯을 잘 뜯어보면 스토리 라인의 중심에 최철기(황정민)가 서 있음을 보게 된다. 첫 장면에서 이미 단호하고 딱딱한 인상으로 관객을 압도하는 그의 이미지는 어떤 압력에도 자신의 소신에 따라 범인을 잡는 경찰의 전형으로 보여진다. 그는 자신의 매제에게 돈을 건네줬다고 하소연하는 해동건설 회장인 장석구(유해진)를 조사할 때에도 거침이 없었다.
이 영화가 흡인력 있게 다가오는 주된 이유는 다름아닌 최철기라는 캐릭터의 변화에 기인한다. 사실 이 영화를 통틀어 최철기 외에 등장 인물 중 평면적 캐릭터를 벗어나는 인물은 없다. 이야기의 발단과 전개, 절정에 이르기까지 최철기의 심리에 따라 사건이 변화무쌍하게 전개된다. 영화 초반에 그 강인하고 굽힘이 없던 모습의 최철기는 왜 극단적인 변화를 겪게 되었을까.
영화는 그 변화를 지극히 사실적이고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그는 단호하고 성실한 경찰이지만, 처도 아이도 없으며 자기가 아끼는 하나뿐인 누이는 힘들게 이발소를 운영하는 하류인생이다. 그녀의 남편은 경찰인 아내의 오빠 이름을 팔아 돈을 챙기는 양아치 같은 사람이지만 누이 때문에 그것마저 눈감아줄 수 밖에 없는 입장이다. 직장에서는 자신을 믿고 따르는 멤버들이 경찰대학을 나오지 못한 자신이 진급 누락으로 인해 함께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 이번에는 진급도 안된 자신을 경찰 내사를 통해 쳐내려는 게 분명하다고 느낀다.
내우외환이 겹친 그에게 강국장(천호진)은 도박같은 제안을 한다. 이미 용의자가 살해되어 해결하기 힘들어진 연쇄성범죄자 검거 건을 자신에게 맡긴 것이다. 최철기는 이것이 자신이 가지치기 당할 수도 있고 특진의 기회가 될 수도 있는 거래임을 직감한다. 처음에 그는 자신의 특기를 가지고 올바로 수사를 시작하지만, 그에게 주어진 너무 짧은 시간의 압박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가짜 범인 세우기'를 감행한다.
그는 일전에 누이의 남편에게 돈을 건네준 스폰서 장석구(유해진)를 불러서 가장 유력한 용의자가 가짜 자백을 할 수 있게 만들라고 지시하고, 장석구 또한 이 지시를 이행하면서 이를 빌미로 최철기를 이용하여 회사 비리를 일삼는, 이른바 부당거래가 시작된다. 최철기는 그가 가장 혐오하는 비리 검사 주양(류승범)과 엮이면서 이 범인이 가짜임을 주양이 알아채자 그에게도 로비를 일삼는 파렴치한 일을 서슴치 않는 인물로 돌변한다. (영화 초반의 연기와 중후반 황정민의 연기변화는 정말 압권이다.)
영화의 클라이맥스는 자신이 가장 아끼는 후배 마대호(마동석)이 이를 알아채고 저지하려하다가 그만 최철기가 우발적으로 쏜 총에 맞아 숨지는 장면에서다. 그는 정서적으로 파탄의 상태에 직면하지만 또다시 위기모면을 위해 살인현장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아끼는 후배 마대호를 칼로 난도질하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만다. 결국 최철기는 자신을 따르던 후배들의 복수로 자신의 불안했던 부당거래의 종지부를 찍게 된다.
이 영화는 전체적으로 숨쉴 틈도 없는 흡인력으로 전개되지만 불쾌하고 우울한 영화다. 사실적이면서도 개인의 내면 심리를 파고들기 때문에 지나치게 감정이입이 되는 이유에서 그렇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를 보면서는 검사들은 크게 해먹어도 살아남고 최철기 같은 일개 경찰들만 개고생하다가 죽는다는 사회적 불평등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한 개인 그것도 부귀영화를 누릴 생각이 없이 꽤나 나름의 원칙이 있고 강인한 정신을 가졌던 한 사람이 어떻게 허물어져가는지를 지켜보면서... 나에게 그런 부분이 있지는 않은지 냉정하게 돌아보게 되었다.
균열은 아주 사소한 부분에서 시작되었다. 최철기는 장석구의 비리를 알고 있었지만 누이의 초라함과 매제의 한심함으로 인해 작은 비리를 눈감게 된다. 그에게 드리운 장석구라는 어둠은 다시 자신의 목을 죄는 상황에서 좀더 손쉽게 꺼내들 수 있는 도구가 되었다. 처음엔 자신이 컨트롤 할 수 있는 도구인 줄 알았던 어둠의 방식은 더큰 비리를 눈감아줘야 하는 존재로 성장하고 이내 자신이 그에 지배되는 반대상황에 직면한다. 최철기는 극단으로 치닫기 전 되돌릴 기회가 있었다. 하지만 그러기에 너무 악의 속도는 빨랐고 그 관성에 그는 손쓸 겨를 조차 없었다. 그가 눈물을 흘리며 후회하던 시간은 자신의 목에 구멍이 뚫리는 복수의 시간이었다.
인생을 살다보면 후회할 일들이 반드시 생긴다. 이는 무지에 의해서이기도 하지만 사소한 악행에 대한 심리적 균열에 관대한 면이 누구에게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돈문제이든 성적인 문제이든, 혹은 인간 관계의 문제이든 말이다. 우리는 누구나 쉽게 속이거나 부정한 방법을 동원하는데 익숙한 존재다. 속으로 모두가 어느 정도는 썩었다고 믿고 있으며 그 수준을 자신이 컨트롤 할 수 있다고 쉽게 생각한다. 하지만 자신에게 갑자기 큰 기회가 오거나 큰 돈이 생기거나 막대한 권력이 주어줬을 때 우리 내면의 균열점에서 극단적 파단으로 치닫는 속도가 가파르다는 사실을 모르고 산다. 그 기회가 오면 우리는 반드시 행복하기 보단 불행할 확률이 높다. 그런 비극이 오기 전에 자신을 한번 치열하게 파헤치는 일이 필요하다. 자아의 내사 말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