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처럼 글쓰기, 글처럼 살기'를 꿈꾸며

Posted
Filed under 단문모음/단상
#1.
트위터와 아이폰의 조합은 온라인 생태계를 바꿔놓았다. 트위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거의 실시간으로 우리나라 곳곳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알 수 있었다. 국회에서, 시위 현장에서, 사회 곳곳에서 벌어지는 긴박한 행동들에서부터 셀렙들이 출몰하는 장소까지... 회사에 앉아 있는 내게 트위터는 고급 정보를 전달했고 나는 현장에 없어도 그 정보를 공유하고 내 생각을 전달할 수 있었다. 
.
리얼타임 '아고라'로서의 존재감도 드러냈다. 아침에 터진 이슈에 대해 점심시간이 되기 전에 수많은 유명한 논객들과 파워 블로거, 기자, 트위터리안들이 자신의 생각들을 표현하고 트위터 안에서 수십번 수백번 리트윗을 거쳐 그 논지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됐다. 물론 이로 인해 생긴 부정적인 영향도 컸다. 오보에 대한 의견들이 한동안 잦아들지 않아 피해를 보는 사람이 생기기도 했고 원치 않게 사생활이 공개되어 고통받는 이도 생겼다. 그럼에도 당시 트위터는 순기능이 컸다고 생각한다.
.
#2.
내가 인터넷에서 논쟁을 즐기던 90년대 후반, 2000년대 초반. 처음으로 논쟁의 묘미를 느꼈던 <인물과사상>은 3개월에 한번 발간되는 강준만의 일인저널룩. 당연히 논쟁의 속도는 더뎠다. 당시 진중권과 홍세화, 유시민 등 걸출한 논객들이 논쟁에 참여했지만 우린 다음 반론을 읽기 위해 3개월을 기다려야 했다. 이후엔 월간 인물과사상을 통해 월간 논쟁으로 속도가 빨라지긴 했지만 한달 간을 기다려 읽었던 반론글을, 무슨 논술 공부하듯 읽고 또 읽고 원글을 찾아 읽고 다시 반론글을 읽고. 그랬다.
.
인터넷 게시판 논쟁은 그 속도가 훨씬 빨랐다. 게시판에는 붙박이 대표 논객들이 존재했고, 그들이 게시판의 공기를 주도했다. 갑자기 치고 올라온 뉴페이스는 자신의 지식을 어느 정도 입증해야 했기에, 약간의 허세삘 글들 몇 편을 쏟아내는 수고를 해야 했다.(일종의 레벨 테스트? ㅋ) 어쨌거나 게시판에서 일어나는 논쟁에는 일정한 룰이 있었다. 이슈가 발생하고 그곳의 주류 논객이 글을 쓰면 그것의 조회수가 급증한다. 하루이틀이 지나면 드디어 누군가의 반론이 올라온다. 두둥.
.
반론에는 비슷한 형식이 있었는데, 일단 반론자는 처음 쓴 글의 텍스트를 분석해야 했다. 상대의 텍스트를 해석하여 짚어주고 그 오류를 풀어가는 형식. 이때 뒤집히는 상대의 텍스트가, 딱지 뒤집히듯 휘청거리면 독해의 쾌감이 상당했다. 그렇다고 당시에도 논쟁이 신사적이었던 건 아니다. 마지막에 사족처럼 덧붙이는 말에 상대를 비꼬거나 인신공격성 멘트를 우아하게 덧붙여서 한껏 반론을 도발하며 끝맺었다. 스웩. 상대가 고수라 재반론에 들어가면 게시판 유저들은 하루이틀 뒤에 그 즐거운 독해를 다시 경험하게 된다. 
.
#3.
언제부턴가 난 논쟁을 멈추었다. 모르겠다. 표면적으로는 페북이나 트위터 같은 SNS가 논쟁에 적합한 플랫폼이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굳이 SNS에서가 아니라 블로그에서 할 수도 있고 게시판이나 다른 매체를 활용할 수도 있을텐데 표면적인 이유만은 아닌 것 같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무엇보다 내가 논쟁의 '속도'를 못 따라가겠다는 나름의 판단 때문인 것 같다. 텍스트를 음미할 시간이 없다. 아침에 불거진 이슈는 당일에 일면식없는 수많은 논객들의 물량 공세에 이미 과식 상태가 되어 있다.
.
내게 논쟁은 '분노의 표출'인 경우도 많았지만 대체로 텍스트 독해의 즐거움, 소화한 텍스트에 대한 해체의 더 큰 즐거움, 뒤집기의 쾌감이거나 때론 정-반-합에 이르는 묘미. 이 모든 것이 타인의 사고와 글쓰기에 대한 기대, 어떤 의미에서의 리스펙? 뭐 그런 게 있었던 것 같다. 왜냐면 인터넷은 공각기동대의 대사처럼 방대한 공간이라기 보단 또다른 (말 통하는) 한 무리의 게시판 공동체였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 안에서의 인신공격은 라임을 맞추거나 힙합의 훅 같은 느낌적인 느낌도 있었다.

논쟁의 속도. 속도를 논하는 사람은 이미 지나간 사람이다. LP판을 회상하는 사람들은, 정서적인 공감은 받지만 음악계의 대세와는 무관한 흔적같은 존재일 뿐이다. 난 속도감있는 지금의 논쟁이 싫다. 물론 이미 5-6년전부터 몇몇 공간에서 상대를 대놓고 하수나 쓰레기처럼 대하는 정서가 싫었다. 그리고 다시 강산의 절반이 변하고는 혼잣말이나 하고 싶은 소.박.한. 중년사람이 되었다. 요즘은 어떤 이슈에 대한 글을 쓸 때마다 이런 생각을 한다. 이런 생각이 더 깊어져서 어느덧 과잉 담론은 흘러가게 두고 싶을 정도로. 내 마음이 그렇다.
2015/11/09 21:32 2015/11/09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