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처럼 글쓰기, 글처럼 살기'를 꿈꾸며

Posted
Filed under 단문모음/단상
까마득하긴 하지만 고등학교, 대학교 시절 음악, 영화평을 주고 받다보면 항상 다투게 되는 친구가 있었다. 대체로 내가 좋아하던 국내 뮤지션이야기를 꺼내면(그는 국내 뮤지션 대부분을 실력이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그 음반은 쓰레기라며 한 두 마디로 내 기호를 제압하곤 했다. 마이클 잭슨 스타일을 모방한다, 킹 크림슨 음악 흉내를 냈다, 창법이 과장됐다는 등등... 촌철이라면 촌철이지만, 섬세하게 들아가본다면 내가 언급한 음악인 중에는 그런 인상 비평이 적절하지 않게 음악 영역이 넓은 이들도 있었고, 더 나아가 문화 컨텐츠에 시시비비를 가리거나 불호를 혐오스럽게 표현하는 것 자체가 잘 납득이 되지 않았다.
.
따지고 보면, 80년대 운동권 글쟁이들이 정권을 비판하면 잡혀가던 그 시절에 상당수는 록, 헤비메탈이나 비헐리우드 영화 같은 문화컨텐츠에 고급 비평을 해대기 시작했고, 그런 비평 양식의 퀄리티가 높아지면서 내가 좋아한 영화인데 정작 나는 그 영화의 비평을 독해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기도 했다. 어쨌거나 그런 분위기가 대중이 소비하던 하위문화인 '바보상자'(TV) 시간떼우기류로 치부하던 '비디오보기', '음악테입 모으기'를 고상한 중년층의 취미로 격상시킨 느낌마저도 있으니 나쁘다고 볼 수는 없다.
.
90년대 이후부터는 진보 비평이 꽃피던 시절이라 상당히 많은 이들이 진중권식 논쟁의 흐름을 즐겼다. 당연히 나도 그런 논쟁이나 글쓰기에 매료되었고, 한동안은 그 스타일을 체화시키고 싶어했다. 하지만 당시에조차 나는 문화컨텐츠에 그런 냉소적이고 과격한 스타일을 접목시켰을 때 그 자극적인 문체들이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고 매번 내 비평글을 자족할 수 없었다. 그 이후로 나는 '이번 것은 좀 아쉬웠다' 이상의 표현을 쓰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
2010년을 넘어 근 10년간 페미니즘이 담론의 여러 영역을 바꿔놓았다. 그 흐름 속에서 이제 조금씩 확신이 드는 건, '칼보다 강한 펜'의 날카로움이라는 비평 스타일도 가부장제 안에서 남성성이 만들어낸 무자비함의 한 단면이 아니겠냐는 사실이다. 누군가의 창조물을 부수고 때리고, 짓밟고 난도질하는 과격함이 물리적이지 않으므로 허용될 수 있다는 생각이 전쟁과 폭력으로 점철된 남성성의 역사와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는 조금씩 과격한 혐오적인 표현을 쓰지 않고도 컨텐츠를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매우 풍성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깨달아가고 있다. 이래저래 배우는 게 많다.
2020/04/20 22:14 2020/04/20 2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