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스스로를 인터넷 논쟁 문화 1세대라고 생각한다.
가장 인상 깊었던 건,
진중권 교수와 조선일보 이한우 기자와의 기나긴 게시판 논쟁이었다.
그 뜨겁던 논쟁이 용두사미처럼 끝맺었고
진중권은 그 논쟁 자체를 허무하게 여겼지만
그때의 강렬한 기억 이후 나는 논쟁의 묘미, 냉소의 효용성(?)을 충분히 공감하게 되었다.
이후로도 오랫동안 나는 인터넷 안에서의 논쟁을 즐겼고 그것 자체를 가치있게 여겼다.
언어유희나 지식자랑의 향연이 아닌 계급장을 땐 민주적인 방식의 진정한 배움,
논쟁을 통해 더욱 도드라지는 이슈, 진리...실제로도 자주 그런 것들을 경험했다.
물론 종종 뚜껑을 열리게 만드는 이들이 있었지만, 내 바닥에서 그런 이들은 소수였고
정말 대화가 되지 않는 경우는 주변에서 알아서 자정능력을 발휘해주었다.
최근 몇년 사이 나는 그런 내 믿음에 회의감을 갖게 만든 여러 사건들을 겪었다.
말이 통하지 않는 경험, 인간이 인간을 대하고 있지 않다는 절망감,
못 가진자가 더 못가진자를 까대는 황당함... 그것을 넘어서는 실망감.
정말 정성들여 쓴 글에 단 몇 글자로 굴욕감을 선사하는 쿨한 이들.
그 쿨한 무수한 댓글들 속에서 속이 썩어 문드러지는 경험들, 경험들.
세상은 아름답고 모두가 희희낙낙인데 내가 무슨 스파이더맨도 아니고
이렇게 인간의 악함을 고민해야 하는 건가,
오지랖을 떨다가 내가 미치고 말겠구나 하는 반성, 자성, 비이성.
한때 나에게 있어 논쟁은 '인터넷'을 떼어내고는 말할 수 없는 무엇이었다.
그 공간은 무지했던 나에겐 인정사정 없는 거친 선생이었고 평등한 대화의 장이기도 했다.
그리고 우습게도 지금도 내겐 정든 고향 같은 느낌, 나름의 향수 같은 게 남아 있다.
하지만 그 향수에 젖어 있다가는 질식할 것 같은 위협, 혹은 똑같이 괴물이 될 것 같은
분노, 미움, 그에 따르는 죄의식, 그렇게 이어지는 인간 자체에 대한 회의감...
그런, 그런 멜랑꼴리.
어떤 연속적, 혹은 단속적 과정이 있었겠지만 어느날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건 좀 아닌 것 같다는.
그렇게 결국,
나는 인터넷 댓글 문화를 혐오하게 됐다...